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전동킥보드 면허와 사고 예방

by sharon89 2023. 2. 11.

전동킥보드 화재예방

 

지난해 5월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며 전동킥보드를 탈 때 운전면허는 필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전동킥보드는 인터넷,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비교적 쉽게 접하고, 구매할 수 있어 아직까지 무면허로 많이들 타고 다니는 것 같습니다. 개정된 도로교통법에 대한 전동킥보드의 규정사항을 정리하고, 생각지도 못한 위험한 전동킥보드 화재 사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정된 도로교통법

개인형 이동장치

1인 교통수단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며 최고 속도 25km/h 미만, 무게 30kg 미만

 

개인형 이동장치의 종류

전동킥보드, 전동이륜평행차, 전동기의 동력만으로 움직이는 자전거

 

규정

운전면허 : 원동기면허 이상

무면허운전 : 20만원 이하 범칙금

어린이 운전 시 보호자 처벌 : 20만 원 이하 과태료

통승자 탑승 : 20만 원 이하 범칙금

안전모 미착용 : 20만원 이하 범칙금

등화장치 미작동 : 20만원 이하 범칙금

음주운전 : 차량 음주운전과 동일 처벌

인명피해 : 보행자 인명피해 사고 발생 시 12대 중과실로 형사처벌 대상 / 스쿨존 사고 시 특정범죄 가중처벌

 

 

 

전동킥보드 충전 화재 사고

전동킥보드 화재
충전 중이던 전동킥보드 폭발

피해자는 전동킥보드를 출퇴근을 위해 사용했었고, 출근 후 근무하는 매장에서 충전을 했다고 합니다. 갑자기 충전 중이던 전동킥보드에서 연기가 나더니, 수류탄이 터지 듯 큰 소리와 함께 불이 붙었고 이로 인해 피해자의 매장 전체로 불이 번져 약 15억 원의 재산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해당 폭발은 전동킥보드의 리튬 배터리 팩의 충전이 완료되면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가 있는데, 그 회로의 오작동이나 고장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또한, 보호회로 오작동을 대비한 별도의 이중 보호 장치가 없는 배터리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전동킥보드의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1. 규격에 맞는 충전기 이용

2. 충전 중에는 자리 비우지 않기

3. 충전 완료 후 충전기 분리

4. 정원 초과 탑승 금지

5. 과방전 유의

 

 

 

댓글